시니어 디지털

시니어 디지털 소통 가이드 – 손자손녀와 영상통화 자주 하기, 줌(ZOOM)과 구글 미트 쉽게 배우기

mynews-3117 2025. 7. 8. 08:23

멀리 떨어져 살아도 손자손녀의 얼굴을 자주 보고, 안부를 직접 들을 수 있다면 얼마나 든든하고 따뜻할까요? 예전처럼 전화를 걸어 목소리만 듣는 시대에서 이제는 얼굴을 보며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영상통화 시대가 열렸습니다. 특히 코로나 이후, 영상으로 가족 모임을 대신하거나, 손주와 놀아주고 싶은 시니어분들께는 줌(Zoom)이나 구글 미트(Google Meet) 같은 영상통화 앱이 아주 유용한 도구가 됩니다. 하지만 이런 앱을 처음 사용하는 시니어분들께는 설치부터 사용까지 모든 단계가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어떤 버튼을 눌러야 하지?’, ‘어떻게 입장하지?’, ‘잘못 눌러서 꺼질까 봐 겁이 나요’ 같은 걱정이 생기는 것도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이 글은 영상통화를 처음 접하시는 시니어분들이 손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줌과 구글 미트 앱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설명한 시니어 디지털 소통 가이드입니다. 자녀나 손주의 도움 없이도 직접 영상통화를 걸 수 있는 힘을 기르실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시니어 디지털 소통

 

시니어 디지털 영상통화 앱이 필요한 이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통해 단순히 전화를 넘어서 얼굴을 보며 대화할 수 있다는 것은 시니어분들에게도 삶의 질을 높이는 디지털 활용 방법입니다.

  • 손자손녀의 표정, 웃음, 성장 모습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자녀와 병원 진료 결과, 약 복용 시간을 눈으로 보며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혼자 사시는 경우 외로움을 덜고 일상 대화를 나누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전화보다 훨씬 따뜻하고 기억에 오래 남는 소통이 가능합니다.

 

영상통화 앱은 어떤 게 있나요?

많은 앱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줌(Zoom)과 구글 미트(Google Meet) 두 가지를 추천드립니다. 이 두 앱은 공공기관과 학교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신뢰도 높은 앱이며, 한국어로 제공되고 시니어 눈높이에 맞춘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줌(Zoom): 가족 모임, 온라인 수업, 모임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
  • 구글 미트: 설치가 간단하고, 구글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음

 

줌(Zoom) 앱 설치와 사용법

앱 설치하기

  1. 스마트폰에서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를 엽니다.
  2. 검색창에 ‘줌’ 또는 ‘ZOOM Cloud Meetings’를 입력합니다.
  3. 설치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다운로드됩니다.
  4. 설치 후 바탕화면에 생긴 줌 아이콘을 터치하여 실행합니다.

줌에서 영상통화 참여하기

영상통화를 하려면 먼저 자녀나 손주가 보내주는 초대 링크나 회의 아이디를 받아야 합니다.

  1. 자녀가 보내준 문자나 카카오톡에서 ‘회의 참가 링크’를 눌러줍니다.
  2. 자동으로 줌 앱이 실행되며, ‘참가’ 또는 ‘Join’ 버튼을 누릅니다.
  3. 이름을 입력하는 칸에는 ‘할머니’ 또는 ‘홍길동 어머니’처럼 본인을 나타낼 수 있는 이름을 입력합니다.
  4. ‘비디오 켜기’를 선택하고 ‘참가’ 버튼을 누르면 상대방과 연결됩니다.
  5. 연결되면 상대방 얼굴이 화면에 나타나고, 화면 아래의 마이크나 비디오 버튼으로 음성과 화면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나가기

대화가 끝나면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있는 ‘나가기’ 버튼을 누르면 통화가 종료됩니다.

 

구글 미트(Google Meet) 앱 설치와 사용법

앱 설치하기

  1. 스마트폰의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를 엽니다.
  2. 검색창에 ‘구글 미트’ 또는 ‘Google Meet’를 입력합니다.
  3. 설치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 후 실행합니다.
  4.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구글 계정이 없으면 새로 만들 수 있습니다. (자녀의 도움을 받아도 좋습니다.)

구글 미트로 영상통화 참여하기

자녀가 미리 정한 시간에 초대 링크를 보내주면 그걸 누르기만 하면 됩니다.

  1. 문자나 카카오톡으로 받은 ‘구글 미트 링크’를 눌러줍니다.
  2. 자동으로 구글 미트 앱이 실행되며, ‘회의 참가’ 버튼이 나타납니다.
  3. 이름을 입력하고 ‘참가 요청’을 누르면 자녀가 수락한 뒤 연결됩니다.
  4. 연결되면 상대방의 얼굴이 화면에 뜨고, 내 얼굴도 조그맣게 오른쪽에 보입니다.
  5. 하단에 있는 마이크, 비디오, 나가기 버튼으로 조절 가능합니다.

 

처음 통화할 때 조심할 점

  • 카메라를 손으로 가리지 마세요. 화면이 까맣게 나오면 손이나 스마트폰 케이스가 카메라를 막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주변 조명을 켜주세요. 얼굴이 어둡게 나올 수 있으니 밝은 방에서 통화하세요.
  • 스피커와 마이크를 손으로 가리지 마세요. 상대방이 내 말을 못 듣는 경우 대부분 마이크가 막혀 있는 경우입니다.
  • 인터넷 연결이 잘 되는 장소에서 이용하세요. 와이파이 연결이 안정적인 곳이 가장 좋습니다.

 

영상통화 중 자주 쓰는 기능

  • 음소거: 상대방 말을 들을 때 내 주변 소음을 잠시 꺼두는 기능입니다. ‘마이크’ 아이콘을 누르면 음소거됩니다.
  • 비디오 끄기: 내 얼굴이 보이지 않게 하려면 ‘비디오’ 아이콘을 누르면 됩니다. 다시 누르면 화면이 다시 나옵니다.
  • 채팅창: 상대방과 짧은 글자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모티콘이나 사진도 보낼 수 있지만 처음에는 생략해도 됩니다.

 

영상통화 활용 예시

  • 매일 아침 안부 인사: 하루 한 번 5분이라도 얼굴을 보면 정서적으로 큰 힘이 됩니다.
  • 손자손녀에게 동화책 읽어주기: 책을 화면에 보여주며 읽어주는 것만으로도 아이는 즐겁고, 어르신도 뿌듯함을 느낍니다.
  • 약 복용 확인: 자녀에게 약 먹는 모습을 보여주며 안심시켜주는 용도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 명절 인사, 생일 축하 영상통화: 먼 곳에 사는 가족에게도 생일 축하 인사를 전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정리

 

질문: 영상통화 중에 전화가 오면 어떻게 되나요?
답변: 전화가 오면 통화가 일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통화를 마친 뒤 영상통화로 자동 복귀되거나, 다시 연결을 눌러야 할 수도 있습니다.

질문: 화면이 안 나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답변: 앱이 카메라를 허용했는지 설정에서 확인하고, 스마트폰을 재시작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 영상통화가 자주 끊겨요.
답변: 와이파이 신호가 약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호가 강한 곳으로 이동하거나, 인터넷 연결 상태를 점검해 보세요.

 

시니어분들을 위한 영상통화 습관 팁

  • 자녀나 손주와 시간을 정해놓고 통화해 보세요. 예: 매주 일요일 오전
  • 화면을 흔들지 않도록 스마트폰 거치대를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 처음엔 자녀와 연습 통화를 하루 한 번씩 해보세요. 서너 번만 반복하시면 충분히 익숙해집니다.
  • 영상통화를 위한 단독 앱 아이콘을 홈 화면 맨 앞으로 옮겨두시면 사용이 쉬워집니다.

 

기술은 멀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람 사이의 거리를 더 가깝게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손자손녀의 환한 미소, 자녀의 안부, 가족의 따뜻한 마음을 화면 속 얼굴로 실시간 나눌 수 있는 영상통화는 시니어 디지털 생활의 핵심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 안내드린 줌과 구글 미트 사용법을 한 번만 차근차근 따라 해보시면, 누구의 도움 없이도 혼자서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 되실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완벽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천천히 해보는 용기와 반복해서 시도하는 마음입니다. 이제는 화면 속에서 가족의 얼굴을 마주 보며 웃을 수 있는 시니어 디지털 생활, 여러분도 당당히 시작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