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최저 시급 ‘10,320원’ 확정! 주휴수당 포함 월급 계산법 총정리
2026년을 앞두고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최저 시급 인상 소식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최저임금은 근로자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이며, 이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월급과 주휴수당은 특히 아르바이트생이나 시간제 근로자, 신입 직원들에게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최저 시급 10,320원을 기준으로 월급과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실수령액은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으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목차
1. 2026년 최저 시급 확정!
1-1. 고용노동부 발표 내용 요약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는 2026년도 최저 시급을 10,320원으로 최종 확정했습니다. 이는 2025년 시급인 10,030원보다 290원 인상된 금액으로, 인상률은 2.9%입니다. 이번 결정은 근로자의 생계비와 자영업자의 인건비 부담 사이에서 타협한 결과로, 여론은 엇갈리지만 사실상 모든 업종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법정 최저임금입니다.
(1) 2026년 최저임금은 얼마인가?
- 시급: 10,320원
- 주 40시간 기준 월급:
209시간 × 10,320원 = 2,156,880원 (세전) - 전년 대비 인상액: 60,610원
2. 2026년 최저 시급 기준 월급 계산법
2-1. 주 5일 근무 기준 월급 계산
월급 계산은 소정근로시간 × 시급을 기준으로 하며,
주 5일 근무 기준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을 근무할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월 소정근로시간 = 주 40시간 × 평균 4.345주 = 약 209시간
- 월급 =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이는 주휴수당 미포함 금액이며, 실수령액은 세금 및 4대보험 공제를 감안해야 합니다.
(1) 월 소정 근로시간 계산 방법
- 소정근로시간은 법정 기준을 따릅니다.
- 1년 365일을 주 단위로 나누면 약 52.14주
- 월 평균은 52.14 ÷ 12 = 4.345주
따라서 주 40시간 근무 시:
40시간 × 4.345주 = 209시간 (월 평균 근로시간)
👉 최저임금 계산을 직접 해보고 싶다면,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최저임금 모의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바로가기: https://www.moel.go.kr/miniWageMain.do
3. 주휴수당이란? 꼭 알아야 할 개념
3-1. 주휴수당의 지급 요건
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근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 수당입니다.
즉, 정해진 시간 이상을 성실히 일하면 하루치 급여가 추가로 주어집니다.
(1) 1주일 만근 기준 적용 여부
- 반드시 무단결근 없이 출근해야 하며,
- 지각·조퇴가 반복될 경우 지급 제외될 수 있습니다.
4. 2026년 주휴수당 포함 월급 계산
4-1. 월급과 실수령액 차이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월 총 근로시간은 243시간으로 늘어나며, 시급 10,320원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월급이 산정됩니다.
- 주휴수당 포함 월급:
243시간 × 10,320원 = 2,508,760원
하지만 실수령액은 여기에서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 등을 공제한 금액이 됩니다.
(1) 주휴수당 포함 실수령액 예시
- 총 지급액(세전): 약 2,508,760원
- 공제액 평균: 약 190,000원 ~ 220,000원
- 실수령액 평균: 약 2,280,000원 ~ 2,310,000원
5. 아르바이트생, 시간제 근로자를 위한 계산 팁
5-1. 하루 4시간 근무 시 주휴수당 계산
주휴수당은 정규직만의 권리가 아닙니다.
주 15시간 이상 일한 알바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 하루 4시간 × 주 5일
- 주 근무: 20시간 → 주휴수당 요건 충족
- 주휴수당: 4시간 × 10,320원 = 41,280원
- 주급: (20시간 + 4시간) × 10,320원 = 247,680원
- 월급(4.345주): 약 1,075,723원
(1) 실무에서 자주 묻는 질문 정리
Q1. 주 3일, 하루 5시간은 주휴수당 지급 대상인가요?
→ 총 15시간 = 조건 충족. 개근 시 지급 가능
Q2. 하루 결근하면 어떻게 되나요?
→ 주휴수당 미지급. ‘개근’ 조건이 핵심
Q3. 주휴수당 주지 않는 사장님 신고 가능한가요?
→ 네, 고용노동부 또는 지자체 근로감독과에 익명 신고 가능
6. 마무리 및 꿀팁
6-1. 최저임금 위반 사례와 주의점
- 사례 1: 시급 10,000원 지급 → 10,320원 미만으로 법 위반
- 사례 2: 주휴수당 누락 → 근로기준법 위반
위반 시 처벌:
최대 3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 벌금
(1) 실수하지 않기 위한 체크리스트
✅ 근로계약서 작성 시 시급, 주휴수당 명시
✅ 출퇴근 기록은 출근부, 앱, 캡처 등으로 보관
✅ 급여명세서 의무 제공 (2021년부터 법제화)
✅ 주휴수당 여부는 스케줄 관리가 핵심
✅ 마무리 요약
2026년 최저 시급 | 10,320원 |
월급 (주휴 제외) | 2,156,880원 |
주휴 포함 월급 | 2,508,760원 |
실수령액 | 약 2,300,000원 |
아르바이트 예시 | 4시간 × 5일 근무 → 약 107만 원 |
✅ 결론
결론 2026년 최저임금은 단순한 ‘시급’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근로자의 기본 권리를 지키는 최소한의 장치이며, 고용주 입장에서도 합리적인 임금 지급 기준이 됩니다. 2026년 최저 시급은 10,320원으로 인상되었으며, 주휴수당 포함 시 월급은 약 250만 원 수준이 됩니다. 근로계약서에 명확한 시급과 주휴수당 기준을 명시하고, 근무 스케줄을 정확히 관리하여 근로자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정확한 계산법과 기준을 알고 있어야, 불이익 없이 나의 권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지급 조건, 월 소정근로시간, 실수령액 계산법까지 완벽하게 숙지하시고, 근로계약 시 꼼꼼히 확인해 불이익을 사전에 방지하세요.